미리 보는 2025년 수혜자별 정부지원사업

2025년도 정부 예산안이 발표된 걸 보니 24년도 얼마 남지 않았네요.. 내년도 예산액은 올해보다 3.2% 늘어난 677조 4천 규모인데요 재정 건전성을 확보하면서 사회적 약자에 대한 맞춤형 지원과 소상공인 재도약 도움 등에 중점을 뒀다고 합니다. 2025년 수혜자별 정부지원사업 내용을 하나하나 살펴보면서 제출된 예산안이 심사를 거쳐 통과가 된다면 어떤 부분에서 변화가 있을지 알아보고 우리가 받을수 있는 혜택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미리 파악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수혜자별 정부지원사업 내용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책

4인가구 기준 연간 최대 3천 86만원까지 지원되어 기초생활보장 4대급여(생계급여,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가 모두 인상되었고 4대 바우처(농식품 바우처, 에너지 바우처, 통합문화이용권, 스포츠 강좌이용권)을 지원합니다

또한 자립을 원하는 저소득층 청년을 위해 자활성공금 및 희망저축계좌, 청년자립자금등이 생겼습니다.

노란색 옷을 입은 여자가 손을 들고 있고 초록색옷을 입은 남자가 돋보기를 들고있습니다.

어르신을 위한 지원책

사회활동을 원하시는 어르신들을 위한노인일자리를 역대 최대인 110만명 지원하고 어르신들의 일상생활에 활력을 넣어줄수있는 건강,문화, 돌봄지원을 확대하고 고령자를위한 복지주택을 3배 확대한다고 합니다.

초록색원피스에 하얀 가디건을 입은 여성이 한손을 들고 있고 흰옷을 입은 남자와 핑크색 옷을 입자가 같이 서있습니다.

장애인을 위한 지원책

일자리를 원하는 장애인을 위해 고용장려금 인원을 76만명으로 확대하고 최중증 발달장애인을 위한 긴급돌봄센터와 24시간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주시설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흰셔츠에 주황색 옷을 입은자가 안내견과 같이 서있고 노란색옷을 입은 남자가 휠체어에 앉아있습니다.

한부모 취약아동을 위한 지원책

양육비를 받지못한 한부모 가구에 국가가 연 240만원의 양육비를 선지급하고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한부모 가구에 아동 양육비를 지원합니다. 또한 아이를 키울 여건이 되지 않는 임산부를 위한 안전한 출산을 지원하고 긴급 위탁보호비 100만원 지급이 새로 생겼습니다.

보호시설에서 퇴소한 청소년을 자립지원수당을 연 600만원까지 확대하고 성폭력 보호시설에서 퇴소한 미성년 미해자를 위한 자립지원수당도 새로 마련되었습니다.

여성이 여자아이와 같이 있고 모자를 남자아이가 얼굴을 손으로 받치고 있습니다.

출산,육아 가구를 위한 지원책

부모 맞돌봄 지원과 근로 환경 유연화를 통해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육아시간을 가질수 있도록 지원하고 맞벌이 가구를 위한 아이돌봄 서비스를 더욱 확대합니다

아기를 안고있는 여자와 임신한 여성옆에 남자가 있습니다.

청년을 위한 지원책

청년들을 위해 국가장학금을 9구간까지 지원구간을 확대하고 청년 주거안정을 위해 8000억원 들여 청년 주택드림대출을 출시합니다. 또한 빈일자리 채움 패키지를 신설하여 5만 8천명에게 지원한다고 합니다.

돋보기를 들고노란색 옷을 입은 여자와 갈색양복을 입은 남자가 컴퓨터 앞에 앉아있습니다

트럼펫을 불고있는 남자와 긴 머리에 안경을 쓴여자가 파란색 옷을 입고 있습니다.

중장년,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지원책

퇴직을 앞둔 중장년 여성의 재취업과 직업훈련 강화 정책으로 고용지원과 직업훈련등의 정책이 있습니다.

아기를 안고있는 여자와 파란색 옷을 입은 남자가 서있습니다.

소상공인을 위한 지원책

소상공인을 위해 비용부담 완화와 빚축소, 매출 확대등을 지원합니다.

요리사복을 입은 여자와 주황색 앞치마를 두른여자 옆에 커피 주전자를 들고있는 남자가 서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지원책

청년 창업가들의 글로벌 진출을 위해 바우처, 정책자금, 특례보증등의 지원을 하고 중소 벤처기업에게는 바우처와 최대 30억원의 융자를 지원합니다.

흰색 셔츠에 치마를 입은 여자와 망원경을 들고 있는 남자가 서있습니다.

군인, 국가유공자를 위한 지원책

병장의 월급을 최저시급 수준으로 맞추고 보훈대상자에게 합당한 보상및 예우를 위한 보훈 급여도 확대합니다.

군복을 입은 남자가 한손을 들고 있고 목에 메달을 매고 모자를 쓴 남자가 있습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2025년 예산안을 토대로 새롭게 시행될 정책들을 살펴보았습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혜택을 받을 수있는 정책이 많아 보이는데 많은 국민이 좀 더 쉽게 혜택을 받아갈 수 있도록 많은 홍보와 신청을 쉽게 하는 것도 중요한것 같습니다. 여러분들도 자신에게 맞는 정책 내용을 잘 살펴보시고 많은 혜택을 챙기시길 바랍니다.

Leave a Comment